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마인크래프트 서버 만들기 2. 설치 및 실행하기
    Study/기타 2024. 6. 19. 21:30

    Google Cloud Platform 홈 화면

     

    이전 글 - https://blue-tang.tistory.com/100

     

    마인크래프트 서버 만들기 1. 호스팅 방법 정하기

    요즘 인터넷 방송인들(유튜버, BJ, 스트리머 등)이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열고 같이 게임을 하는 모습을 많이 보였다.가상 세계지만 사람들을 진짜 만난것 처럼 인사도 하고 같이 모험도 하며 지

    blue-tang.tistory.com

     

     

    이전 글에서는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어디서 어떻게 올릴 수 있는지 몇가지 방법을 비교해봤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VM 인스턴스를 만들고, 마인크래프트를 설치 및 실행하여 다른 사람들이 접속할 수 있는 환경까지 구성해본다.

     

    인스턴스 만들기

    클라우드 사용 경험이 있다면 간단하다.
    인스턴스를 하나 발급받아서 사용하면 된다.

    상세 과정은 아래와 같다.

    Google Cloud를 기준으로 진행한다. 다른 플랫폼도 거의 비슷하다.

    1) 로그인 및 Free credit 받기

    검색해보면 굉장히 많고 쉬우니 초보자들도 따라해볼수 있다.

    아래영상도 괜찮고, 이게 잘 안되면 다른 걸 따라해보자.

    https://youtu.be/ogzJovMsDIU?si=mbr4GCHfxFGh0jVC

    2) 인스턴스 생성

    로그인이 되었고 Free credit도 받았다. 이제 인스턴스를 생성할 차례이다.

    여기서 인스턴스란 간단히 말하면 서버가 올라갈 장비를 말한다.

    GCP Virtual Machines 메뉴

    Compute Engine > VM Instances를 찾아가준다.

     

    Create VM Instance

    검색창 아래에 Create Instance라는 파란색 버튼을 클릭한다.

    클릭하면 인스턴스 생성 화면으로 이동한다.

     

    지역 설정은 서울로 해준다. asia-northeast3 (Seoul)

    장비 설정은 비용과 성능 사이에서 입맛에 맞게 해주면 된다.

    종류가 많아서 뭘 해야할 지 모르겠다면 아래 세팅을 사용하면 된다.

    내가 적용한 세팅이고 5명 정도 무리없이 돌릴 수 있었다.

    General purpose - N2 - Custom - 메모리 4GB로 조정

    Instance Config

    아래 Create Button을 누르면 인스턴스가 생성된다.

     

    3. 서버 설치 및 실행


    이제 vm 인스턴스에 접속하여 자바와 마인크래프트를 설치하면 서버를 실행할 수 있다.

    먼저 만들어진 인스턴스에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설치한다.

    서버는 크게 Vanilla (순정 서버)와 플러그인 서버 두가지로 나뉜다.

     

    Vanilla Server

    https://www.minecraft.net/en-us/download/server

    가장 기본적인 서버로 Minecraft Server (Vanilla Server)가 있다.

    플러그인을 사용할 계획이 아니고, 사용자별로 필요한 모드만 사용할 계획이면 이걸로 충분하다.

    잘 모르겠다면, 나중에 플러그인을 사용해야할 때 다른 서버로 교체하는 것도 쉬우니 일단 이걸로 가봐도 된다.

     

    플러그인 서버

    서버 플러그인을 통해 다양한 서버 기능을 사용하려면 필요하다.

    ex) 사용자 권한 관리, 커스텀 스크립트, 그 외 다양한 서버 플러그인

    Bukkit, Spigot, Paper 등이 있다. 각각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바닐라 서버 기준으로 설치는 다음과 같다.

    우선 SSH로 인스턴스에 접속한다.

    1. wget 설치 
    2. 마인크래프트 서버 실행파일 (jar) 설치
    3. jdk 21 설치
    4. jdk 압축 해제
    5. 서버 실행 (자신의 메모리 용량에 따라 -Xmx4G 대신 다른 값을 넣어주면 된다. e.g. -Xmx1024M)

    // wget 설치
    sudo yum install wget
    
    // server.jar 설치
    wget https://piston-data.mojang.com/v1/objects/450698d1863ab5180c25d7c804ef0fe6369dd1ba/server.jar
    chmod 755 server.jar
    
    // jdk 21 설치
    wget https://download.oracle.com/java/21/latest/jdk-21_linux-x64_bin.tar.gz
    
    // jdk 압축 해제
    tar -zxvf jdk-21_linux-aarch64_bin.tar.gz
    
    // 서버 실행
    jdk-21.0.2/bin/java -Xmx4G -Xms1024M -jar server.jar nogui

    Starting net.minecraft.server.Main이 뜬다.

    이 때 java.nio.file.NoSuchFileException: server.properties 오류가 발생하면 eula.txt 파일을 수정해주면 된다.

    // eula.txt
    eula=false // false를 true로 변경

    다시 실행해주면 Done이 뜨면서 서버가 실행된다.

     

    3. 접속

    마인크래프트 서버는 25565 포트를 사용해 클라이언트와 연결한다.

    콘솔에서 인스턴스의 25565 포트를 열고, 클라이언트에서 인스턴스 IP + 포트번호를 입력하면 접속할 수 있다.

    ex) 123.123.123.123:25565

     

    포트를 열기위해 Google Cloud Console로 돌아와서 검색창에 Firewall을 검색한다.

     

    Firewall로 들어가면 Create Firewall Policy를 클릭해서 새로운 방화벽 정책을 만들 수 있다.

    첫번째로 이름과 설명, 지역을 설정해준다.

    다음으로 넘어가면 룰을 추가할 수 있다.

    Priority - 999, Direction - Ingress, Source - 0.0.0.0/0, Destination- TCP 25565

    만들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아래 창을 볼 수 있다.

    방화벽 설정을 네트워크에 적용해주는 단계이다. Associate 버튼을 클릭한다.

    default에 적용해주면 이제 vm에 방화벽 룰이 적용되어서 사람들이 접속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제부터 친구들에게 IP를 공유해서 마인크래프트 월드에서 즐거운 모험과 농사와 광질을 할 수 있다.

    아무래도 보안상 문제가 될 수 있으니 IP는 공개된 곳에 뿌리지는 않는게 좋다.


    서버를 실행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해서 찾아보는 사람이 있다면 도움이 됐으면 해서 나름대로 쉽게 풀어서 적어봤다.

    혹시나 잘 안되서 도움이 필요하다면 질문은 메일로 남겨주면 답장 해드리겠습니다.

    728x90
Designed by Tistory.